반응형

투자가 결실을 맺어 수익을 얻기까지는 시간이 걸린다'는 것을 각오하는 데에서 장기투자는 시작된다.
작물의 생육에는 일정한 시간이 걸리는데 이것은 대자연의 에너지를 체내에 축적하는 데 필요한 시간이다.




중후장대형 산업뿐 아니라 일본의 제조업은 일반적으로 이익률이 낮다. 세계에 군림하는 일본의 제조업은 본래의 실력으로 보면 이익률이 더 높아도 좋을 것이다.
일본의 은행이나 보험회사는 이 자금 순환 시스템의 중핵으로 일본 경제의 발전과 함께 거대한 자금을 쥐고 기업 경영에 커다란 영향력을 갖게 되었다. 그것이 지극히 일본적이라고밖에 할 수 없 는 주거래은행 제도와 은행 그룹화로 이어져 점점더 기업에 대한 지배력을 확장하게 되었다.
장기투자자라면 어느 쪽 회사를 고를 것인가? 화제성 이나 겉보기만 따진다면 틀림없이 (그림 30)의 유명 가전사일 것이 다. 그러나 장기투자의 수익 추구라면 (그림 31)의 소재 기업의 손을 들어주어야 할 것이다.
<로그 차트로 보기>


반응형
'도서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존 보글 투자의 정석 (2002년 저) (2) | 2023.10.19 |
---|---|
돈버는 사람은 단순하게 생각합니다 (4) | 2023.10.18 |
세상은 꿈꾸는 자의 것이다 (0) | 2023.09.14 |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 니체 (0) | 2023.09.11 |
조화로운 부 (0) | 2023.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