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책읽기5

벨 아미 - 기 드 모파상 노르베르 드 바렌이 대답했다. "이봐요. 난 늘 이렇다오. 당신도 몇 년 있으면 나처럼 될 거요. 인생이란 비탈길과 같다오. 올라가는 동안은 정상이 보이니까 행복하지. 하지만 다 오르고 나면 갑자기 내리막길이 나타나고, 종말이, 죽음이라는 종말이 보이기 시작한다오. 또 올라갈 때는 천천히 가지만 내려갈 때는 빠르답니다. 당신 나이 때야 즐겁지요. 결코 실현되지 않을 것이라 해도 희망도 많고 말이오. 그런데 내 나이가 되면 더 이상 아무것도 기대하지 않게 된다오. 그저•••••• 죽음이 있을 뿐." 인간의 정신은 초라하기 그지없고, 인간의 사상과 관심사들은 그야말로 범속할 뿐이며, 인간의 도덕은 너무도 어리석다. 이 모든 일이 너무 느닷없이 이루어졌다. 정작 뒤루아는 상관하지도 못하고 입도 벙끗하지 못했다.. 2024. 6. 22.
잠시 혼자 있겠습니다 SOLITUDE: In Pursuit of a Singular Life in a Crowded World, Michael Harris 홀로 있음 이 없으면 아이는 자율적인 존재가 되지 못하며, "우리의 사회적• 심리적 병증 가운데 대다수가 일차적으로 자기 조절 장애 라는 점을 부인할 수 없다. 외로움의 통상적 치료법은 더 많은 사람들과 연결되는 것이지만, 홀로 있음을 연습하는 것도 하나의 답이 될 수 있다. 오히려 많은 사람들이 홀로 있는 시간을 절실 하게 필요로 한다. 똑같이 반복되는 사회생활에서 자신을 격 리시키면 "일상적 삶의 복잡한 상황에서는 좀처럼 포착되지 않는 자기 이해와 깊은 내면과의 접촉이 증진된다"라고 스토는 말한다? 작가와 화가들의 발명은 불만에서 시작한 경우가 많다. 스토는 그 속에서.. 2024. 6. 10.
나는 왜 저 인간이 싫을까? - 오카다 다카시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서로를 미워한다. - 순자 인간의 마음속에는 타인의 행복을 질투하는 감정, 즉 '르상티망(ressentiment)'이 깔려 있다. - 니체(Nietzsche) {1장} "나는 인간 알레르기일까? - 어제까지는 좋았는데 오늘은 싫어지는 이유 알레르기란 일반적으로 '과도한 면역 반응'이라고 정의한다. 즉 굳이 제거할 필요가 없는 것까지 이물질로 인식해서 공격하는 현상이 바로 그것이다. 인간관계는 상호적인 것이다. 내가 누군가를 외면하면 그도 어느새 그 마음을 알아채고 나를 외면하고 만다. 부정적인 감정을 표출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 1)자신의 불쾌한 기분을 주변 사람들에게 퍼붓는 유형 2)속으로 삭이며 자기만의 세계에 틀어박히려는 유형 인간 알레르기인 사람은 자존심이 세고, .. 2024. 6. 1.
너는 나에게 상처를 줄 수 없다 (1, 2 권) 너는 나에게 상처를 줄 수 없다 - 배르벨 바르데츠키 사람이 세상을 살아가면서 가장 크게 고통을 느끼는 것은 사람과 사람 사이에 일어나는 갈등일 것이다. 누군가가 상처를 주고, 누군가는 상처를 받는다. 그 상황에서 우리는 잠시 떨어져 있을 필요가 있으며, 심호흡을 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상처를 주는 사람의 저변에는 '열등감'이 깔려 있다. 상처가 있다면 그것을 직시하고 무엇이 상처를 주는 지 알아가야 한다. 그래야 치유될 수 있다. 다양한 유형의 사람들이 있다. 자신이 받는 상처를 다른 사람의 탓으로 돌리고, 쉽게 상처를 받지만, 끈질기게 상대방에게 매달리며 얽아매고 의존한다. 이런 사람과는 거리를 두는 것이 좋다. ------------------------------ 비교하지 말고, 흉내 내지 말고.. 2022. 10. 13.
다산의 마지막 공부 다산의 마지막 공부 -저자 : 조윤제 하늘이 장차 그 사람에게 큰 사명을 내리려 할 때는, 먼저 그의 심지를 괴롭게 하고, 뼈와 힘줄을 힘들게 하며, 육체를 굶주리게 하고, 그에게 아무것도 없게 하여 그가 행하고자 하는 바와 어긋나게 한다. 마음을 격동시켜 성질을 참게 함으로써 그가 할 수 없었던 일을 더 많이 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 맹자 - 어떤 이는 고난을 통해 놀라운 일을 만들어 내기도 하지만 어떤 사람들은 고난에 치여 무너지기도 한다. 그 차이는 바로 고난을 어떤 마음으로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달려 있다. 먼저, 고난을 이겨내고 큰일을 이루기 위해서는 반드시 고난을 받아들이는 긍정적인 마음이 있어야 한다. 그 전제는 평온하고 안정적인 마음을 유지하는 것이다. 공부는 결국 잃어버린 마음을 .. 2020. 12.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