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습관의 힘1 습관의 힘 처음에 쥐들은 미로를 탐색하는 듯했다. 그래서 뇌가 새로운 정보를 받아들이고 이해하기 위해 전력으로 작동했다. 똑같은 길을 며칠 동안 다닌 후에는 벽을 긁거나 냄새를 맡을 필요가 없었다. 그러자 벽을 긁고 냄새를 맡는 행위와 관련된 뇌 활동이 줄어들었다. 방향을 바꿀 때도 어느쪽을 선택할까 고민하지 않아도 됐다. 따라서 의사 결정을 위한 뇌활동도 중단되었다. 쥐들은 초콜릿을 찾아가는 가장 빠른 길을 기억하기만 하면 충분했다. 일주일이 지나지 않아, 기억과 관련된 뇌 구조까지 조용해졌다. 쥐들이 생각할 필요조차 없을 정도로 미로를 신속하게 통과하는 방법을 내면화했다는 뜻이었다. 기저핵이 패턴을 기억해서 패턴대로 행동하도록 만드는 조절 장치였다. 달리 말하면 뇌의 다른 모든 부분이 마비가 되어도 기저핵만 살.. 2023. 6. 27.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