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심리치료3 아이의 사회성 사회성은 가지고 태어나는 것이 아닙니다. 부모와 주변 사람들의 노력 여하에 따라 사회성은 성장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사회성의 출발점은 어디일까요? 바로 부모입니다. 아이들은 부모와의 상호작용을 토대로 관계를 맺고 유지하는 방법을 알아가고, 이 방법을 다른 사람들에게 확대 적용하게 됩니다. 부모와 원만한 상호작용을 주고받으며 성장한 아이는 다른 사람들과도 조화를 잘 이루며 살아갑니다. 일본에는 '코이'라는 비단잉어가 있습니다. 이 잉어를 작은 수족관에 넣 어두면 5~8센티미터 자라지만, 큰 수족관이나 연못에 넣어두면 15~20센 티미터가 자라고, 강물에 넣어두면 90~ 120센티미터나 자란다고 합니다. 환경에 따라 성장이 달라지는 이 물고기 이야기는 우리의 아이들에게도 적 용될 수 있습니다. 아이들을 .. 2023. 12. 28. 밀턴 에릭슨의 심리치유수업 다시 일어서기 위해강력한 동기를 부여하는 4가지 이야기 어떤 행동의 이유를 댈 필요는 없다. 그래도 목표-직접적이고 성취할 수 있는 목표-는 꼭 있어야 한다 '이제 인생을 즐길 때도 되지 않았습니까? 두 분은 30년 넘게 싸웠어요. 이제 행복한 결혼생활을 누릴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어요?' 그러자 그들이 고마워하더군. 치료자들 중에는 자기네가 변화를 이끌어내고 환자가 변하도록 도와줘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부지기수야. 치료는 산꼭대기에서 눈 덩이를 굴리는 것과 같아. 눈덩이가 굴러떨어지면서 점점 커지고 눈사태를 일으켜 산처럼 되는 거라네." 동부의 어느 여의사가 내게 전화해서 "우리 아들은 하버드 대학 학생인데요, 여드름이 아주 심해요. 최면으로 치료해주실 수 있을까 요?" 내가 말했다. "그래요. 그.. 2023. 12. 20. 상처받는 것도 습관이다 상처받는 것도 습관이다 - 오카다 다카시연애와 배우자 선택은 고위험, 고수익의 모험이라 할 수 있다. 연애 상태의 뇌는 광기와 종이 한 장 차이다. 남자 복, 여자 복 운운하며 팔자타령을 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잘 들어보면 항상 비슷한 사람만 만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아무리 매력적인 사람이라도 자신을 어필할 줄 모른다면 마음에 드는 사람을 붙잡기 힘들다. 짝사랑만 하는 사람은 자신에게 어울리는 상대와 어울리지 않는 상대를 분간할 줄 모른다. 인격이 완성되는 데 가장 근간을 이루는 요소가 애착(attachman)이다. 애착은 생후 1년 6개월까지 어머니와의 관계를 통해 형성되는 '반영구적 유대'다. => 심리적 유대 + 생물학적 유대 애착 안정성은 대인관계뿐 아니라 기본적인 안심과 신뢰, 스트레스와 불안.. 2023. 7. 12.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