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서리뷰

내 아이를 위한 사랑의 기술

by ReadingN 2024. 2. 14.
반응형



감정코치를 하는 부모는 아이에게 상처가 될 말이나 행동을 하면 주저하지 않고 아이에게 사과한다. 스트레스를 받은 상황에서 부모는 무심코 아이를 야단치거나 괜히 목소리를 높일 수 있지만, 이런 행동을 후회하면서 아이에게 미안하다고 말하고 이를 계기로 교훈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찾는다. 이런 식으로, 하나의 사건은 서로의 친밀감을 높일 수 있는 또 다른 기회가 된다. 특히 부모가 그 당시 어떤 느낌이었는지 아이에게 거리낌없이 이야기하고, 앞으로 그런 상황을 좀더 나은 방법으로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 대화를 나눔으로써 배움의 기회를 만들 수 있다.

때리거나 빈정대거나 위협적이거나 경멸적인 말을 하거나, 모욕감을 주는 행동은 절대로 피해야 한다.

자신의 감정과 친해지는 방법에는 명상, 기도, 일기 쓰기, 악기 연주나 그림 그리기와 같은 예술적 표현 등 이 있다. 무엇보다 기억해야 할 것은 감정에 대한 인식을 높이려면 어느 정도 혼자 있는 시간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부부의 경우 아침 산책을 나가거나 주말여행을 떠날 필요가 있다.

아이는 부모가 자기 편임을 알게 되면 아무리 큰 위기가 닥쳐도 함께 싸워나갈 태세를 갖춘다.

어떤 감정을 경험할 때 그 감정에 대해 이야기하면 언어와 논리를 담당한 좌뇌가 움직이게 되고, 그 결과 아이가 집중하고 진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

부모에게 하고 싶은 조언은 아이가 자기감정을 묘사할 수 있는 단어를 찾도록 하라는 것이다.

습관적으로 아이의 잘못을 지적하는 습관'을 없애려면, 우선 "왜 그런 짓을 했지?"라는 투의 질문을 피하라. 이런 질문을 들으면 아이 는 합당한 이유를 대기보다는 자신을 방어하고픈 본능이 더 커진다.
=> 그 러므로 아이가 실수를 저질렀다면 비난보다는 아이가 왜 그럴 수밖에 없었는지 이해하려는 태도를 보이는 것이 좋다.

아이의 인격 형성에 방해가 되는 비난을 당장 그만두는 것이다.

의례적인 몇 마디 말조차 하기 힘든 날도 있다. 이런 경우는 다시 재충전될 때까지 감정코치를 미루어야 한다. 재충전을 하기 위해서 산책을 하거나, 낮잠을 자거나, 뜨거운 물로 목욕을 하거나 영화를 보는 것도 방법이다.

아버지의 말은 아이에게 많은 영향을 끼친다. 비판과 수치심을 주는 말, 강압적인 말들은 아이에게 부정적이고 반항적인 사고를 심어준다.
반면 감정을 일깨워주고 칭찬하는 말은 아이의 인성뿐 아니라 학업에 도 큰 도움이 된다.

자녀가 성장하면서 겪는 수많은 변화 속에서 부모가 항상 유념해야 할 한 가지가 있다.
아이는 언제나 부모의 사랑과 관심의 대상이 되고 싶어 한다는 사실이다.









반응형

'도서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붓다 연대기  (0) 2024.05.29
이기는 습관 - 보도 섀퍼  (0) 2024.04.09
위대한 기업에 투자하라  (11) 2024.01.26
아이의 사회성  (1) 2023.12.28
밀턴 에릭슨의 심리치유수업  (3) 2023.12.20